
2011년 9월에 일본 도쿄에 위치한 모리미술관 큐레이터로부터 이메일을 받았다. 내용은 모리미술관(Mori Art Museum, Tokyo, Japan)에서 정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“맘프로젝트(MAM Project)[1]모리미술관의 기획 중 국적에 상관없이 기대되는 신진 아티스트를 후원하는 프로젝트이다. 2004년 1월에 처음 시작되었고 매해 두세 명의 작가를 선정, … Continue reading”의 17번째 개인전 작가로 초대하고 싶은데 참여할 생각이 있느냐는 메일이었다. 나를 초대한 큐레이터는 나츠미 아라키(Natsumi Araki)라는 분으로 2009년도에 내가 참여한 서울시립미술관에서의 “City_net Asia 2009”전에서 일본 대표로 참여했던 큐레이터였다. 나중에 나츠미 아라키와 대화하면서 알게 된 것인데, 그때 내가 찻잎 설치를 하는 모습을 우연히 보게 되었고 작품이 인상적이어서 기억하고 있다가 이번에 초대하게 되었다고 한다. 미술관을 보러 한 번 도쿄를 방문했고 전시작 선정과 내 작품세계에 대한 대화를 나누러 큐레이터가 한 번 한국을 방문했다. 나츠미는 전시에 찻잎 설치를 하면 어떻겠냐고 물었고 나는 ‘평행세계’ 설치작품을 보여주면서 그 작품을 전시하고 싶다고 했다. 결국엔 ‘평행세계’ 설치를 “맘프로젝트 017”에 선보이기로 했다.


김종영 미술관에서 처음 ‘평행세계’를 전시할 때는 빛 실루엣을 추상적, 비현실적으로 조합되도록 구성했었다. 그런데 모리미술관 전시를 준비하면서 빛 실루엣을 이리저리 조합하다 보니, 미술사의 어떤 장면들이 만들어지는 것을 느꼈다. 이를테면, 예수탄생(Adoration of the Magi)이라던가, 마티스의 춤(Dance), 노아의 방주(Noa’s Ark), 혹은 선사시대 동굴에서 발견된 선사인들의 손바닥 그림 등이 그것이었다.

left: Adoration of the Magi, right: Noa’s Ark

left: Dance, right: Hands across Time


오프닝 날에는 아티스트 토크가 진행되었는데 감사하게도 일본어 동시통역이 지원되어서 나는 모국어인 한국어로 편하게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했고 이어폰을 낀 방청객들은 동시에 일본어 번역을 들을 수 있었다.





주(註)
↑1 | 모리미술관의 기획 중 국적에 상관없이 기대되는 신진 아티스트를 후원하는 프로젝트이다. 2004년 1월에 처음 시작되었고 매해 두세 명의 작가를 선정, 프로젝트 전시실에서 개인전을 개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. 메인 전시실의 일부를 맘 프로젝트 공간으로 구성하여 소규모로 진행된다. 다만 별도의 입장료를 받지 않고 본 전시를 관람하는 관객 모두에게 무료로 개방한다. |
---|